Biomimetic Chromatography Screen

Biomimetic Valko Screen은 HPLC 기반 바이오모방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약물의 혈장 단백질 결합률, 자유 농도(free fraction), 막 친화성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스크리닝 서비스입니다. 생체 내 분포성과 ADME 특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어, 후보물질 최적화와 약물 개발 초기 전략 수립에 유용합니다.
문의하기서비스를 소개합니다
Biomimetic Valko Screen은 약물의 생체 내 분포 특성을 예측하고 독성 리스크를 조기에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고정밀 HPLC 기반 바이오모방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플랫폼입니다. 이 기술은 제약 산업에서 수천 개의 화합물을 평가하는 데 적용되어 왔으며, 특히 신약 개발 초기 단계에서 약물-단백질 및 약물-막 간의 비특이적 결합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결합 특성은 체내 조직 분포, 자유 약물 농도, 작용 부위 도달성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치료 효과 및 독성 프로파일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플랫폼은 글로벌 제약사 재직 당시 Dr. Klara Valko 박사에 의해 개발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는 AsedaSciences와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logP(logarithmic partition coefficient) 분석만으로는 약물의 실제 생체 내 분포를 정밀하게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Biomimetic Valko Screen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HPLC 칼럼에 다음과 같은 stationary phases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 Human Serum Albumin (HSA)
2. α1-acid Glycoprotein (AGP)
3. 인공막(IAM, Immobilized Artificial Membrane)
이러한 항목들은 각각 혈장 단백질 결합, 약물의 막 친화성, 조직 내 분포 특성 등을 모사하며, 자유 약물 농도(free fraction), 조직 축적 위험, 작용 부위 도달 가능성 등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습니다.
분석 항목과 도출 지표
Biomimetic Valko Screen은 총 6개의 HPLC 분석을 통해 약물의 크로마토그래피 유지 시간(retention time)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주요 특성값들을 도출합니다.
1. pH 2.0에서의 Lipophilicity2. pH 7.4에서의 Lipophilicity
3. pH 10.5에서의 Lipophilicity
4. HSA 결합률
5. AGP 결합률
6. IAM 결합률 (막 친화성)
도출되는 결과 값 (총 19개 중 일부)
- % Bound HSA / AGP
- % IAM Binding
- Brain Tissue Binding
- Lung Tissue Binding
- hERG Inhibition 예측
이러한 데이터는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ADME) 예측은 물론, 독성 위험이 낮고 작용부위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가능성이 높은 후보물질을 선별하는 데 이용할 수 있습니다.
· Hit-to-Lead 및 Lead Optimization 단계에서 SAR 시리즈 비교 분석
· 조직 특이적 축적 위험 또는 비특이적 결합성 확인
· 혈장 단백질 결합률을 기반으로 한 유효 약물 농도 예측
· 동물실험을 최소화하면서 효능/독성 리스크를 조기에 평가
서비스 이용 상담은 3rnd-app.asedasciences.com 혹은 한국 공식 대리점 자연과학(주)로 문의주시면 자세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이런 서비스 유형을 제공합니다
Screening |
Description |
---|---|
Biomimetic Valko Screen | Six HPLC measurements including lypophilicity at 4 pH levels (2, 7.5, 10.4) and HSA, AGP and IAM stationary phase binding affinity |
Consulting with Dr. Valko | Biomimetic Screen 이후, 전문가와의 실험 결과 디스커션 및 컨설팅 (1hr) |
서비스는 이런 절차로 진행됩니다
-
서비스상담
실험항목 및 조건 논의 -
계약
실험의뢰서(CSF) 작성
(필요시) 계약서 작성 -
시료 준비
(택배 혹은 방문수령) -
시료 발송
Tracking no. 안내
Report due date 안내 -
결과제공
최종 보고서 전달
결과 검토 및 상담
결제 진행
논문 정보를 알아보세요
View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