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BEscreen Zebrafish Screen

ZBEscreen은 제브라피시 모델을 활용하여 약물의 발생 독성(teratogenicity)과 신경활성(neuroactivity)을 평가하는 스크리닝 플랫폼입니다. ZBEscreen은 글로벌 제브라피시 독성 평가 분야를 선도하는 미국의 Tanguay Lab과 AsedaSciences가 협력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24~120시간 사이에 배아 발달과 행동 반응(EPR, LPR)을 정량 분석하여, 초기 단계에서 약물의 독성 및 신경계 영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문의하기서비스를 소개합니다
ZBEscreen Zebrafish Screen
ZBEscreen은 제브라피시(Zebrafish)를 모델로 하여 약물의 발생 독성(teratogenicity)과 신경활성(neuroactivity)을 조기에 평가하는 in vivo 분석 플랫폼입니다. 제브라피시는 인간과 높은 유전적 유사성(약 70+%)을 가지며, 빠른 발달 속도, 투명한 배아, 작은 크기 등으로 인해 약물의 생리학적 효과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모델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ZBEscreen은 24시간 embryo 단계에서부터 120시간까지의 발달 과정을 관찰하며, 13개의 주요 형태학적 지표와 행동 반응(Embryo Photomotor Response, Larval Photomotor Response)을 정량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단순 독성 평가를 넘어 신경계 기능 이상이나 운동성 변화 등 세밀한 생리학적 반응까지 조기에 포착할 수 있습니다.
ZBEscreen은 기존의 세포 기반(in vitro) 독성 시험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전신적(in vivo) 생리 반응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 제브라피시는 체내 여러 장기(심장, 간, 신경계 등)의 발달이 빠르고 명확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특정 화합물이 조직이나 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EPR(Embryo Photomotor Response) 및 LPR(Larval Photomotor Response)을 통해 초기 신경계 반응을 빠르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세포 기반 모델이나 설치류 모델보다 비용 대비 시간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데이터는 표준화된 프로토콜 하에 정량화되며, 연구자가 후보물질의 안전성 및 효능 리스크를 조기에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형태학적 변화: 13개의 주요 발달 지표(심장 발달, 혈관 생성, 신경관 형성 등)를 24~120시간 내 모니터링
- 행동 반응 분석: EPR/LPR 테스트를 통해 24~48시간 내 신경활성 및 운동성 변화를 평가
- 생존율 및 독성 프로파일: 수십 개 샘플을 일주일 이내에 고속 처리 가능
약물 후보물질의 발생 독성, 신경계 독성, 전신 효능 영향까지 신속하고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ZBEscreen 이용 방법
ZBEscreen 플랫폼 이용을 위해서는 3rnd-app.asedasciences.com에서 원하는 실험 서비스를 주문하고, 평가하고자 하는 실험 물질을 자연과학(주)로 전달해주시면 됩니다.
이후 Tanguay Lab의 Zebrafish 팀이 표준화된 프로토콜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고, 상세한 분석 리포트와 함께 결과를 제공합니다.
실험 결과는 3RnD 플랫폼의 연구자 계정에 곧바로 업로드되어, 신속하고 개인정보가 보호되는 형태로 연구자에게 전달됩니다. 해당 결과 데이터 (형태학적 변화 및 행동 반응)는 플랫폼 안에서 Visualization되어, 연구 기획이나 후보물질 선별에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 상담은 3rnd-app.asedasciences.com 혹은 한국 공식 대리점 자연과학(주)로 문의주시면 자세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실험실: Tanguay Laboratory
위치: Oregon, USA.
Tanguay Lab은 2004년부터 제브라피시 독성학 연구에 전문성을 보였으며,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현재 제브라피시 독성학 분야에서 표준으로 여겨지는 많은 프로토콜과 Methodology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런 서비스 유형을 제공합니다
Screening |
Description |
---|---|
ZBEscreen-236 Zebrafish Screen | OECD test guideline 236 어류 배아 급성독성시험(FET)에 적합한 Acute Zebrafish Embryo Toxicity Screening Test |
ZBEscreen Zebrafish Screen | Developmental toxicity covering morphological responses in 16-zebrafish development endpoints from 24 hpf to 120 hpf. |
ZBEscreen Consulting | ZBEscreen 이후, 전문가와의 실험 결과 디스커션 및 컨설팅 (2hr) |
ZBEscreen-Limit Test Zebrafish Screen | Limit test for developmental toxicity - morphological responses in 16-zebrafish developments from 24 hpf - 120 hpf - single concentration. |
ZBEscreen-236 Zebrafish Screen
ZBEscreen-236은 OECD 테스트 가이드라인 236에 설명된 대로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급성 또는 치명적 독성을 감지하도록 설계된 제브라쉬 배아 급성 독성(FET) 스크린입니다.
OECD Test No. 236: Fish Embryo Acute Toxicity (FET) Test
측정값
1. 수정란 응고 COAGULATION OF FERTILIZED EMBRYO
수정 후 24, 48, 72, 96시간에 수정된 융모막 배아의 응고 여부 (hpf)
2. 몸 분절 형성 부족 LACK OF SOMITE FORMATION
수정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에 형성된 소미테의 유무 (hpf)
3. 꼬리 봉오리 분리 부족 LACK OF TAIL BUD DETACHMENT
수정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에 꼬리 분리 평가. 수정 후 24시간(hpf) 후, 꼬리는 몸의 후방 신장에 따라 노른자에서 분리됩니다.
4. 심장 박동 부족 LACK OF HEARTBEAT
심장 박동은 수정 후 48시간(hpf) 후에 측정할 수 있으며 48, 72, 96hpf에서 활성 심장 박동
5. 부화 지연 HATCH DELAY
수정 후 72시간 및 96시간(hpf)에 배아의 융모막에서 부화 지연
데이터 자료를 살펴보세요
Fig. 1. Bioactivity across the SYSTEMETRIC® Cell Health Screen and the ZBEscreen™. Bar plots of DNT chemical library bioactivity as identified by A) ZBEscreen™ mortality/morphological assessments and B) CHI™ categorized by chemical class C) Venn diagram of bioactivity across the morphological and behavioral (EPR and LPR) assessments of the DNT chemical library in the ZBEscreen™.
Fig. 2. Concordance between the SYSTEMETRIC® Cell Health Screen and ZBEscreen™. A) Venn diagram showing the number of bioactive chemicals between the ZBEscreen™ and SYSTEMETRIC® CHS B) Distribution of CHI™ bioactives and ZBEscreen™ endpoints across the 87 DNT chemical library where the zebrafish endpoints were separated by mortality, morphology, and the behavioral assessments EPR and LPR (green indicates bioactivity identified by CHI, blue indicates bioactivity identified by any of the 4 zebrafish readouts). Likewise, DNT chemicals not identified through the CHI™ classification were detected by the ZBEscreen™, demonstrating the complementarity between the systems used in tandem. (For interpretation of the references to colour in this figure legend, the reader is referred to the web version of this article.)
St Mary, Lindsey et al.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zebrafish and an automated live-cell assay to classify developmental neurotoxicant chemicals.”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vol. 476 (2023): 116659. doi:10.1016/j.taap.2023.116659
이런 분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
Zebrafish 데이터를 신속히 받을 수 있어요
대학부설 연구소 연구원

Zebrafish를 키우지 못하는 여력에서 신속하게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좋아요
높은 편의성, 합리적인 가격
바이오텍 연구원

Zebrafish를 항상 키우고 있지 않다보니 실험 세팅을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이 많았는데, 서비스를 통해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서비스는 이런 절차로 진행됩니다
-
서비스상담
실험항목 및 조건 논의 -
계약
실험의뢰서(CSF) 작성
(필요시) 계약서 작성 -
시료 준비
(택배 혹은 방문수령) -
시료 발송
Tracking no. 안내
Report due date 안내 -
결과제공
최종 보고서 전달
결과 검토 및 상담
결제 진행
자주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논문 정보를 알아보세요
Keywords: Antiviral drug discovery; Developmental neurotoxicity (DNT); Embryonic zebrafish model (ZBEscreen); High throughput; SYSTEMETRIC® Cell Health Screen; Whole organism. View publication
• ZBEscreen™ and Cell Health Screen yielded comprehensive information.
• ZBEscreen™, Cell Health Screen, and Comp TOX assays detected distinct toxicity characteristics.
• Cell Health Screen is a rapid and reliable pre-selection step in hazard assessments.
• ZBEscreen™ demonstrated the highest sensitivity to developmental neurotoxicants.
• Results can be used to train and validate new classifiers to detect mechanisms of toxicity View publication